Skip to content

Commit 3cef092

Browse files
authored
Apply suggestions from code review
1 parent 2a7607c commit 3cef092

File tree

1 file changed

+9
-9
lines changed

1 file changed

+9
-9
lines changed

Diff for: content/docs/concurrent-mode-reference.md

+9-9
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
@@ -16,9 +16,9 @@ prev: concurrent-mode-adoption.html
1616

1717
>주의
1818
>
19-
>이 페이지는 **안정된 배포판에서는 [아직 사용할 수 없는](/docs/concurrent-mode-adoption.html) 실험적인 기능들에 관해 설명합니다. 프로덕션용 앱에선 React의 실험 배포판을 사용하지 마세요. 이 기능들은 React의 일부가 되기 전에 경고 없이 크게 변경될 수 있습니다.
19+
>이 페이지는 **안정된 배포판에서는 [아직 사용할 수 없는](/docs/concurrent-mode-adoption.html) 실험적인 기능들에 관해 설명합니다.** 프로덕션용 앱에선 React의 실험 배포판을 사용하지 마세요. 이 기능들은 React의 일부가 되기 전에 경고 없이 크게 변경될 수 있습니다.
2020
>
21-
>이 문서는 얼리어답터들과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제작된 문서입니다. React를 처음 접해본다면 이러한 기능들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. 그 기능들을 바로 배울 필요는 없습니다.
21+
>이 문서는 얼리어답터들과 궁금해하시는 분들을 위해 제작된 문서입니다. **React를 처음 접해본다면 이러한 기능들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.** 그 기능들을 바로 배울 필요는 없습니다.
2222
2323
</div>
2424

@@ -43,7 +43,7 @@ prev: concurrent-mode-adoption.html
4343
ReactDOM.createRoot(rootNode).render(<App />);
4444
```
4545

46-
`ReactDOM.render( />, rootNode)`을 대체하고 Concurrent 모드를 활성화합니다.
46+
`ReactDOM.render(<App />, rootNode)`을 대체하고 Concurrent 모드를 활성화합니다.
4747

4848
Concurrent 모드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다면, [Concurrent Mode 문서](/docs/concurrent-mode-intro.html)를 참고해주세요.
4949

@@ -53,7 +53,7 @@ Concurrent 모드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다면, [Concurrent
5353
ReactDOM.createBlockingRoot(rootNode).render(<App />)
5454
```
5555

56-
`ReactDOM.render( />, rootNode)`를 대체하고 [Blocking 모드](/docs/concurrent-mode-adoption.html#migration-step-blocking-mode)를 활성화합니다.
56+
`ReactDOM.render(<App />, rootNode)`를 대체하고 [Blocking 모드](/docs/concurrent-mode-adoption.html#migration-step-blocking-mode)를 활성화합니다.
5757

5858
Concurrent 모드를 선택하면 React 작동하는 방식에 의미적 변화가 생깁니다. 이는 몇몇 컴포넌트에서 Concurrent 모드를 사용할 수 없다는 걸 의미하며 몇몇 앱은 곧바로 Concurrent 모드로 마이그레이션을 할 수 없습니다.
5959

@@ -76,7 +76,7 @@ Blocking 모드는 Concurrent 모드의 일부만 포함하며 곧바로 마이
7676

7777
`Suspense`는 두 개의 props를 사용합니다.
7878
* **fallback**은 로딩 표시기를 받아들입니다. 폴백은 `Suspense` 컴포넌트의 모든 자식이 렌더링을 마치기 전까지 표시됩니다.
79-
* **unstable_avoidThisFallback** boolean을 받아들입니다. 초기 로드할 때 이 경계를 보여주는 걸 건너뛸 지 말 지 React에게 알려줍니다. 향후 배포판에서 이 API는 제거될 수 있습니다.
79+
* **unstable_avoidThisFallback** boolean을 받아들입니다. 초기 로드할 때 이 경계를 보여주는 걸 건너뛸 지 말 지 React에게 알려줍니다. 향후 배포판에서 이 API는 제거될 수 있습니다.
8080

8181
### `<SuspenseList>` {#suspenselist}
8282

@@ -101,11 +101,11 @@ Blocking 모드는 Concurrent 모드의 일부만 포함하며 곧바로 마이
101101

102102
`SuspenseList`은 두 개의 props를 사용합니다.
103103
* **revealOrder(forwards, backwards, together)**`SuspenseList` 자식이 표시되는 순서를 정의합니다.
104-
* `together`는 하나씩 표시하지 않고 준비됐을 때 *모두 한번에* 표시합니다.
104+
* `together`는 하나씩 표시하지 않고 준비됐을 때 *모두 한번에* 표시합니다.
105105
* **tail (collapsed, hidden)**`SuspenseList`에서 로드되지 않은 항목을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냅니다.
106-
* 기본적으로, `SuspenseList`는 목록에 있는 모든 폴백을 표시합니다.
107-
* `collapsed`는 목록에서 다음 폴백만 표시합니다.
108-
* `hidden`은 로드되지 않은 항목을 표시하지 않습니다.
106+
* 기본적으로, `SuspenseList`는 목록에 있는 모든 폴백을 표시합니다.
107+
* `collapsed`는 목록에서 다음 폴백만 표시합니다.
108+
* `hidden`은 로드되지 않은 항목을 표시하지 않습니다.
109109

110110
`SuspenseList``SuspenseList` 컴포넌트 아래에 있고 가장 인접한 `Suspense``SuspenseList` 컴포넌트에만 동작한다는 점에 주의해주세요. 한 단계보다 깊은 경계는 검색하지 않지만 여러 `SuspenseList` 컴포넌트를 중첩해 그리드를 형성할 수는 있습니다.
111111

0 commit comments

Comments
 (0)